죽음의 고드름 브로니클
Brinicle(브리니클)은 고밀도 염수를 뜻하는 Brine(브라인)과 고드름의 영어 Icicle(아이씨클)의 합성어이다. 1960년대에 처음 알려진 이현상은 바닷속이 어는 자연적인 현상인데, 이것이 지나가면서 주변의 있는 모든 생물을 얼려 죽여 죽음의 고드름(Icicle of death) 또는 죽음의 기둥(Death pillar)이라고도 불린다.
우리가 아는 일반상식은 "바닷물=소금물 ☞ 얼지 않는다"라고 알고 있는데 이현상은 왜 생기는 걸까? 확실히 바닷물은 잘 얼지 않는다. 하지만, 극지방같이 몹시 추운 환경에서는 이런 바닷물이 얼어 빙하를 만들기도 한다. 해수는 담수에 비해 어는점이 낮고 얼기 시작하면 염분은 빠지고 거의 순수한 물로만 이루어진 얼음이 형성된다. 아는 사람도 있겠지만, 북극과 남극의 빙하는 짜지 않다고 한다! (전 이번에 알았네요...)
그럼... 빠진 염분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
만약, 빙붕 한복판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빠진 소금은 퍼져 나갈 곳이 없기에... 얼지 않은 빙붕의 아래쪽으로 점점 밀려 자연스럽게 빙붕 아래 해수의 농도는 진해진다. 농도가 오른 과포화 상태가 된 해수는 어는점 역시 낮아지므로 어지간한 영하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액체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영하 45~60도 사이를 왔가갔다 하는 극저온 환경에서 과냉각 상태에 과포화(고염분) 된 해수는 일반 해수보다 밀도가 높아, 슬러시 형태로 점점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아래로 내려오는 극저온+고농도의 해수는 접촉한, 어느 점이 낮지 않은 일반 해수를 급속도로 냉각시키며 안쪽은 슬러시 형태의 소금물, 겉은 얼어붙은 일반 해수의 파이프 형태 고드름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브리니클(Brinicle)이라고 부른다.
이 브리니클이 해저 바닥까지 닿아 흐르면, 주변 바닥을 빙한 지옥으로 만들어 버린다. 근처에 있던 생물들은 어지간해선,
영하 60도의 온도를 버틸 수가 없기에 그대로 브리니클과 같이 얼어 죽는다. 브리니클이 죽음의 고드름이라고 불리는 이유이다.
2011년, 영국 BBC의 프로즌 플래닛(Frozen Planet) 다큐멘터리 팀이 남극 로스빙붕 인근 리틀 레이저 백 아일랜드 바다에서 촬영에 성공, 영하 2도에 달하는 차가운 바닷속에서 대여섯 시간을 버티며 촬영했다고 한다.
아래는 관련 동영상이다. 고속 촬영된 영상이라 불가사리들이 빠르게 움직인다. 실제론, 브리니클은 천천히 생기는 현상이라고 한다.
아래는 일반 촬영으로 브리니클이 생성되는 실제 속도와 거의 비슷하다.
브리니클에 대해 글을 쓰면서 관련 영상을 여러 번 봐도 신기하면서 한편으론 저 많은 생물들이 아무런 저항도 못하고 그 자리에서 얼어 죽는 걸 보니 무섭다는 생각 들었다. 다행인 건, 사람을 얼릴정도는 아니라고 하니...
다음에 좀 더 신기한 주제로~
부족 한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KIH's Story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9일, 온라인으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하자! (feat. 안성시) (0) | 2020.04.09 |
---|---|
코로나19 바이러스 사멸?? 임상시험이 필요한 "구충제 이버멕틴" 그리고 현재 미국 코로나19 상황... (0) | 2020.04.07 |
"구충제 이버멕틴" 새로운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가 될까?? (2) | 2020.04.06 |